슐츠의 자막공방/203고지 (1980)

묵덴(봉천) 전투

슐츠105 2016. 8. 30. 18:05

나무 위키

https://namu.wiki/w/%EB%B4%89%EC%B2%9C%20%EC%A0%84%ED%88%AC

 

 

 

<러시아 극동군 >

극동육해군 총사령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크로파트킨(Алексе́й Никола́евич Куропа́ткин) 대장.
참가 총병력 - 379.5개 보병대대 309,600명, 151.3개 기병중대와 소트니아(1개 중대 규모의 코사크 기병대), 20.5개 공병대대, 대포 1,219문(중포-60문/야포-1,039/산포-120문), 기관총 56정.

 

(좌익) 제1군 - 사령관 리네비치(Никола́й Петро́вич Лине́вич) 대장 - 128개 대대, 43개 기병중대와 Sotnia, 3개 공병대대(총 106,500명), 포 412문(산포 포함), 박격포 24문, 진지포 4문 기관총 20정. 담당 전선 길이 50km,
제2시베리아 군단 : 제1시베리아 저격사단, 제5동시베리아 저격사단

제3시베리아 군단 : 제6시베리아 저격사단, 제3동시베리아 저격사단

제4시베리아 군단 : 제2시베리아 저격사단, 제3시베리아 저격사단

제71보병사단, 시베리아 독립예비여단, 트란스바이칼 보병대대,

 

(우익) 제2군 - 사령관 카울바르스(Каульбарс,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) 대장[1] - 126개 대대, 18개 기병중대와 Sotnia, 3개 공병대대(총 91,700명), 포 294문(산포 포함), 박격포 54문, 진지포 56문, 기관총 12정. 담당 전선 길이 25km.
제1시베리아 군단 : 제1동시베리아 저격사단, 제9동시베리아 저격사단

제8군단 : 제14저격사단, 제15저격사단

제10군단 : 제9저격사단, 제31저격사단

혼성저격군단 : 제1저격여단, 제2저격여단, 제3저격여단

 

(중앙) 제3군 - 사령관 빌데들링(Бильдерлинга) 대장[2] - 81개 대대, 92개 기병중대와 Sotnia, 5개 공병대대,(총 60,700명) 포 360문(산포 포함), 박격포 12문, 기관총 8문
제5시베리아 군단 : 제54저격사단, 제71저격사단

제6시베리아 군단 : 제55저격사단, 제72저격사단

제17군단 : 제3저격사단, 제35저격사단

 

기병집단 - 파벨 폰 렌넨캄프(Па́вел Ка́рлович фон Ренненка́мпф ) 소장
제4돈 코사크 기병사단, 카프카스 코사크 기병사단, 올렌부르크 코사크 기병사단, 제2기병사단, 제1바이칼 기병사단, 우랄 바이칼 기병사단, 시베리아 기병사단, 제2용기병 여단, 코사크 산악 기병여단

 

전략예비대 - 44.5개 보병대대, 야포 120문, 기관총 4문.
제16군단 : 제25저격사단, 제41저격사단,

제72보병사단, 보병 제146연대.

 

< 일본 만주군 >

총사령관 오야마 이와오(大山嚴) 원수, 총참모장 고다마 겐타로(兒玉源太郞) 대장
참가 총병력 - 240개 보병대대 249,800명, 57.5개 기병중대, 43개 공병중대, 대포 978문(중포-146문/야포-574문/산포-258문), 기관총 256정.

 

제1군(우익) - 사령관 구로키 다메모토(黑木爲楨) 대장
근위사단, 제2사단, 제12사단, 후비(後費) 근위 혼성여단, 후비보병 제5여단

 

제2군(좌익) - 사령관 오쿠 야스가타(奧保鞏) 대장
제3사단, 제4사단, 제5사단, 제8사단, 후비보병 제8여단, 기병 제1여단

 

제3군(유격군) - 사령관 노기 마레스케(乃木希典) 대장
제1사단, 제7사단, 제9사단, 후비보병 제15여단, 기병 제2여단, 포병 제2여단

 

제4군(중앙) - 사령관 노즈 미치즈라(野津道貫) 대장
제6사단, 제10사단, 후비보병 제3,10,11여단, 포병 제1여단

 

압록강군(양동군) - 사령관 가와무라 카게아키(川村景明) 중장
제11사단, 후비보병 제1사단, 후비보병 제16여단


예비대 - 후비보병 제1여단, 후비보병 제13여단, 후비보병 제14여단, 중포여단